Group Study (2020-2021)/React

[React] 2주차 스터디 - props와 state

dolphinSarah 2020. 10. 25. 15:06

React component에서 다루는 data는 props와 state, 이 두 가지로 나뉩니다.

 

props는 부모 component가 자식 component에게 주는 값입니다. 자식 component에서는 props를 받아오기만 하고, 받아온 props를 직접 수정할 수 없습니다.

 

반면에 state는 component 내부에서 선언하며, 내부에서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props("properties"의 줄임말)와 state는 일반 JavaScript 객체입니다. 두 객체 모두 렌더링 결과물에 영향을 주는 정보를 갖고 있는데, 한 가지 중요한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props 함수 매개변수처럼 component에 전달이 되는 반면, state 함수 내에 선언된 변수처럼 component 안에서 관리됩니다. 

새 Component 만들기 

먼저, src 디렉토리에 MyName이라는 component를 만들어보겠습니다.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MyName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div>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b>{this.props.name}</b> 입니다.
      </div>
    );
  }
}

export default MyName;

 

자신이 받아온 props 값은 this. 키워드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name이라는 props를 보여주도록 설정해두었습니다. 

 

이제 component를 사용해보겠습니다.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import MyName from './MyName';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MyName name="리액트" />
    );
  }
}

export default App;

 

import를 통해 component를 불러오고, 렌더링 해보겠습니다. 이렇게 component를 만들고 나면, 일반 태그를 작성하듯이 작성해주면 됩니다. props 값은 name="리액트" 처럼 태그의 속성 설정하듯이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함수형 Component

위와 같이 단순히 props만 받아와서 보여주는 component의 경우에는 더 간편한 문법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바로 함수 형태로 작성하는 것인데요. 위에서 만들었던 MyName component를 다시 작성해보겠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MyName = ({ name }) => {
  return (
    <div>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name} 입니다.
    </div>
  );
};

export default MyName;

 

훨씬 간단하게 작성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는데요! 함수형 component와 클래스형 component의 주요 차이점state와 LifeCycle이 빠져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component 초기 마운트가 아주 미세하게 빠르고, 메모리 자원을 덜 사용합니다. 미세한 차이라서 component를 무수히 많이 렌더링 하는 것이 아니라면 성능적으로 큰 차이는 없습니다. 

state

state는 동적인 data를 다룰 때 사용합니다. 이번에는 Counter라는 새로운 component를 만들어보겠습니다.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Counter extends Component {
  state = {
    number: 0
  }

  handleIncrease = () => {
    this.setState({
      number: this.state.number + 1
    });
  }

  handleDecrease = () => {
    this.setState({
      number: this.state.number - 1
    });
  }

  render() {
    return (
      <div>
        <h1>카운터</h1>
        <div>값: {this.state.number}</div>
        <button onClick={this.handleIncrease}>+</button>
        <button onClick={this.handleDecrease}>-</button>
      </div>
    );
  }
}

export default Counter;

 

메소드가 작성된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handleIncrease = () => {
    this.setState({
      number: this.state.number + 1
    });
  }

  handleDecrease = () => {
    this.setState({
      number: this.state.number - 1
    });
  }

 

component에 메소드를 작성해주었는데, 메소드는 아래의 형식으로도 작성할 수 있습니다. 

 

handleIncrease() {
    this.setState({
      number: this.state.number + 1
    });
  }

  handleDecrease() {
    this.setState({
      number: this.state.number - 1
    });
  }

 

이렇게 하면 나중에 버튼에서 클릭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this가 undefined로 나타나서 제대로 처리되지 않게 됩니다. 함수가 버튼의 클릭 이벤트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this'와의 연결이 끊겨버리기 때문인데요. 이를 고쳐주려면 constructor에서 아래처럼 해주면 됩니다.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handleIncrease = this.handleIncrease.bind(this);
    this.handleDecrease = this.handleDecrease.bind(this);
  }

 

이렇게 이중으로 작성하는 것보다는, 제일 위에 작성된 코드처럼 아예 화살표 함수 형태로 작성하면, this가 풀리는 것에 대해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이제 각 메소드에 들어있는 this.setState에 대해 알아봅시다. state에 있는 값을 바꾸기 위해서는 this.setState를 무조건 거쳐야 합니다. React에서는 이 함수가 호출되면 component가 re-rendering 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setState는 객체로 전달되는 값만 업데이트 해줍니다. 

 

아래의 코드를 보면,  state에 number와 foo라는 값이 있습니다. 

 

state = {
    number: 0,
    foo: 'bar'
  }

 

this.setState({ number: 1 }); 을 하게 되면 foo는 그대로 남고, number 값만 업데이트됩니다.

 

setState는 객체의 깊숙한 곳까지 확인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state가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고 해봅시다. 

 

state = {
    number: 0,
    foo: {
      bar: 0,
      foobar: 1
    }
  }

 

아래와 같이 한다고 해서 foobar 값이 업데이트 되지 않습니다. 

 

this.setState({
  foo: {
    foobar: 2
  }
})

 

그냥 기존의 foo 객체가 아래와 같이 바뀌어버립니다.

 

{
  number: 0,
  foo: {
    foobar: 2
  }
}

 

대신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아래와 같이 해주어야 합니다. 

 

this.setState({
  number: 0,
  foo: {
    ...this.state.foo,
    foobar: 2
  }
});

 

...은 JavaScript의 전개 연산자입니다. 기존의 객체 안에 있는 내용을 해당 위치에 풀어준다는 의미입니다. 

setState에 객체 대신 함수 전달하기 

setState를 사용하여 값을 업데이트할 때(기존의 값을 참고하여 업데이트할 때) 조금 더 나은 문법으로 할 수가 있는데요. 

 

기존에 작성했던 코드는 아래와 같죠? 

 

this.setState({
  number: this.state.number + 1
});

 

큰 문제는 아니지만 굳이 또 this.state를 조회해야 하는데요. 아래와 같이 조금 더 나은 문법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this.setState(
  (state) => ({
    number: state.number
  })
);

 

여기서 조금 더 나아가면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this.setState(
  ({ number }) => ({
    number: number + 1
  })
);

 

(state)가 ({ number })가 되었는데, 이건 비구조화 할당이라는 문법입니다. 이 문법은 아래처럼 사용할 수 있는데요. 

 

const { number } = this.state;

 

결국 코드를 조금 덜 작성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하면 된답니다. 

 

const { number } = this.state;
this.setState({
  number: number + 1
})

 

 

자료 출처

- velopert.com/3629

 

누구든지 하는 리액트 4편: props 와 state | VELOPERT.LOG

이 튜토리얼은 10편으로 이뤄진 시리즈입니다. 이전 / 다음 편을 확인하시려면 목차를 확인하세요. 리액트 컴포넌트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두개로 나뉩니다. 바로 props 와 state 인데요, 미리 요약

velopert.com

- ko.reactjs.org/docs/faq-state.html

 

컴포넌트 State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reactj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