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02 구현(Implementation)
-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
- 흔히 알고리즘 대회에서 구현 유형의 문제란?
- 풀이를 떠올리는 것은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
- 구현 유형의 예시
- 알고리즘은 간단한데 코드가 지나칠 만큼 길어지는 문제
- 실수 연산을 다루고, 특정 소수점까지 출력해야 하는 문제
- 문자열을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끊어 처리해야 하는 문제
-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
일반적으로 알고리즘 문제에서의 2차원 공간은 행렬(Matrix)의 의미
#09 문자열 압축
문제설명
데이터 처리 전문가가 되고 싶은 "어피치"는 문자열을 압축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대량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간단한 비손실 압축 방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는데, 문자열에서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것을 그 문자의 개수와 반복되는 값으로 표현하여 더 짧은 문자열로 줄여서 표현하는 알고리즘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예로 "aabbaccc"의 경우 "2a2ba3c"(문자가 반복되지 않아 한번만 나타난 경우 1은 생략함)와 같이 표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반복되는 문자가 적은 경우 압축률이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abcabcdede"와 같은 문자열은 전혀 압축되지 않습니다. "어피치"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문자열을 1개 이상의 단위로 잘라서 압축하여 더 짧은 문자열로 표현할 수 있는지 방법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abcdcdababcdcd"의 경우 문자를 1개 단위로 자르면 전혀 압축되지 않지만, 2개 단위로 잘라서 압축한다면 "2ab2cd2ab2cd"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8개 단위로 잘라서 압축한다면 "2ababcdcd"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때가 가장 짧게 압축하여 표현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다른 예로, "abcabcdede"와 같은 경우, 문자를 2개 단위로 잘라서 압축하면 "abcabc2de"가 되지만, 3개 단위로 자른다면 "2abcdede"가 되어 3개 단위가 가장 짧은 압축 방법이 됩니다. 이때 3개 단위로 자르고 마지막에 남는 문자열은 그대로 붙여주면 됩니다.
압축할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위에 설명한 방법으로 1개 이상 단위로 문자열을 잘라 압축하여 표현한 문자열 중 가장 짧은 것의 길이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s의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s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string s) {
int len = s.size();
int answer = len;
int n = len / 2;
for (int i = 1; i <= n; i++) {
string result = "";
string s2 = s.substr(0, i);
int cnt = 1;
for (int j = i; j <= len; j += i) {
if (s2 == s.substr(j, i)) {
cnt += 1;
}
else {
if (cnt == 1) {
result += s2;
}
else {
result += (to_string(cnt) + s2);
}
s2 = s.substr(j, i);
cnt = 1;
}
}
if ((len%i) != 0) {
result += s.substr((len / i)*i);
}
// 최솟 값 저장
if (answer > result.size()){
answer = result.size();
}
}
return answer;
}
#10 자물쇠와 열쇠
문제설명
고고학자인 "튜브"는 고대 유적지에서 보물과 유적이 가득할 것으로 추정되는 비밀의 문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런데 문을 열려고 살펴보니 특이한 형태의 자물쇠로 잠겨 있었고 문 앞에는 특이한 형태의 열쇠와 함께 자물쇠를 푸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해 주는 종이가 발견되었습니다.
잠겨있는 자물쇠는 격자 한 칸의 크기가 1 x 1인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 형태이고 특이한 모양의 열쇠는 M x M 크기인 정사각 격자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자물쇠에는 홈이 파여 있고 열쇠 또한 홈과 돌기 부분이 있습니다. 열쇠는 회전과 이동이 가능하며 열쇠의 돌기 부분을 자물쇠의 홈 부분에 딱 맞게 채우면 자물쇠가 열리게 되는 구조입니다. 자물쇠 영역을 벗어난 부분에 있는 열쇠의 홈과 돌기는 자물쇠를 여는 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자물쇠 영역 내에서는 열쇠의 돌기 부분과 자물쇠의 홈 부분이 정확히 일치해야 하며 열쇠의 돌기와 자물쇠의 돌기가 만나서는 안됩니다. 또한 자물쇠의 모든 홈을 채워 비어있는 곳이 없어야 자물쇠를 열 수 있습니다.
열쇠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key와 자물쇠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lock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열쇠로 자물쇠를 열수 있으면 true를, 열 수 없으면 false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key는 M x M(3 ≤ M ≤ 20, M은 자연수)크기 2차원 배열입니다.
- lock은 N x N(3 ≤ N ≤ 20, N은 자연수)크기 2차원 배열입니다.
- M은 항상 N 이하입니다.
- key와 lock의 원소는 0 또는 1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0은 홈 부분, 1은 돌기 부분을 나타냅니다.
입출력 예시
# 2차원 리스트 90도 회전
def rotate_a_matrix_by_90_degree(a):
n = len(a) # 행 길이 계산
m = len(a[0]) # 열 길이 계산
result = [[0] * n for _ in range(m)] # 결과 리스트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result[j][n - i - 1] = a[i][j]
return result
# 자물쇠 중간 부분이 모두 1인지 확인
def check(new_lock):
lock_length = len(new_lock) // 3
for i in range(lock_length, lock_length * 2):
for j in range(lock_length, lock_length * 2):
if new_lock[i][j] != 1:
return False
return True
def solution(key, lock):
n = len(lock)
m = len(key)
new_lock = [[0] * (n * 3) for _ in range(n * 3)]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new_lock[i + n][j + n] = lock[i][j]
# 4가지 방향에 대해서 확인
for rotation in range(4):
key = rotate_a_matrix_by_90_degree(key) # 열쇠 회전
for x in range(n * 2):
for y in range(n * 2):
# 자물쇠에 열쇠 끼워 넣기
for i in range(m):
for j in range(m):
new_lock[x + i][y + j] += key[i][j]
# 새로운 자물쇠에 열쇠가 정확히 들어맞는지 검사
if check(new_lock) == True:
return True
# 자물쇠에서 열쇠를 다시 빼기
for i in range(m):
for j in range(m):
new_lock[x + i][y + j] -= key[i][j]
return False
#11 뱀
문제설명
'Dummy' 라는 도스게임이 있다. 이 게임에는 뱀이 나와서 기어다니는데, 사과를 먹으면 뱀 길이가 늘어난다. 뱀이 이리저리 기어다니다가 벽 또는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
게임은 NxN 정사각 보드위에서 진행되고, 몇몇 칸에는 사과가 놓여져 있다. 보드의 상하좌우 끝에 벽이 있다. 게임이 시작할때 뱀은 맨위 맨좌측에 위치하고 뱀의 길이는 1 이다. 뱀은 처음에 오른쪽을 향한다.
뱀은 매 초마다 이동을 하는데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 먼저 뱀은 몸길이를 늘려 머리를 다음칸에 위치시킨다.
- 만약 이동한 칸에 사과가 있다면, 그 칸에 있던 사과가 없어지고 꼬리는 움직이지 않는다.
- 만약 이동한 칸에 사과가 없다면, 몸길이를 줄여서 꼬리가 위치한 칸을 비워준다. 즉, 몸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사과의 위치와 뱀의 이동경로가 주어질 때 이 게임이 몇 초에 끝나는지 계산하라.
입력 조건
첫째 줄에 보드의 크기 N이 주어진다. (2 ≤ N ≤ 100) 다음 줄에 사과의 개수 K가 주어진다. (0 ≤ K ≤ 100)
다음 K개의 줄에는 사과의 위치가 주어지는데, 첫 번째 정수는 행, 두 번째 정수는 열 위치를 의미한다. 사과의 위치는 모두 다르며, 맨 위 맨 좌측 (1행 1열) 에는 사과가 없다.
다음 줄에는 뱀의 방향 변환 횟수 L 이 주어진다. (1 ≤ L ≤ 100)
다음 L개의 줄에는 뱀의 방향 변환 정보가 주어지는데, 정수 X와 문자 C로 이루어져 있으며. 게임 시작 시간으로부터 X초가 끝난 뒤에 왼쪽(C가 'L') 또는 오른쪽(C가 'D')로 90도 방향을 회전시킨다는 뜻이다. X는 10,000 이하의 양의 정수이며, 방향 전환 정보는 X가 증가하는 순으로 주어진다.
출력 조건
첫째 줄에 게임이 몇 초에 끝나는지 출력한다.
n = int(input()) # 보드 크기
k = int(input()) # 사과 개수
data = [[0] * (n+1) for _ in range(n+1)] # 맵 정보
info = [] # 방향 회전 정보
# 사과 위치
for _ in range(k):
a, b = map(int, input().split())
data[a][b] = 1 # 사과가 있으면 1로 표시
l = int(input()) # 뱀의 방향 전환 횟수
for _ in range(l):
x, c = input().split()
info.append((int(x), c))
# 동, 남, 서, 북에 따른 이동 방향
dx = [0, 1, 0, -1] # x좌표
dy = [1, 0, -1, 0] # y좌표
def turn(dir, c):
if c == "L": # 왼쪽으로 90도 회전 (3 -> 2 -> 1 -> 0 -> 3 -> ...)
dir = (dir-1) % 4
else: # 오른쪽으로 90도 회전 (0 -> 1 -> 2 -> 3 -> 0 -> ...)
dir = (dir+1) % 4
return dir
def simulate():
x, y = 1, 1 # 뱀의 초기 위치
data[x][y] = 2 # 뱀이 존재하는 위치는 2로 표시
dir = 0 # 처음에는 동쪽을 보고 있음
time = 0 # 시작한 후 지나간 시간
index = 0 # 다음에 회전할 정보
q = [(x, y)] # 뱀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 정보(꼬리가 앞쪽)
while True:
nx = x + dx[dir]
ny = y + dy[dir]
# 맵 범위 안에 있고, 뱀의 몸통이 없는 위치라면
if 1 <= nx and nx <= n and 1 <= ny and ny <= n and data[nx][ny] != 2:
if data[nx][ny] == 0: # 사과가 없으면
data[nx][ny] == 2 # 이동 후
q.append((nx, ny)) # 위치 기록하고
px, py = q.pop(0)
data[px][py] = 0 # 꼬리 제거
if data[nx][ny] == 1: # 사과가 있으면
data[nx][ny] == 2 # 이동 후
q.append((nx, ny)) # 위치 기록하고 꼬리 그대로 두기
# 벽이나 뱀의 몸통과 부딪히면 반복문 종료
else:
time += 1
break
x, y = nx, ny # 다음 위치로 머리를 이동
time += 1
if index < 1 and time == info[index][0]: # 회전할 시간이 되었을 때
dir = turn(dir, info[index][1])
index += 1
return time
print(simulate())
#13 치킨 배달
문제 설명
크기가 N×N인 도시가 있다. 도시는 1×1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도시의 각 칸은 빈 칸, 치킨집, 집 중 하나이다. 도시의 칸은 (r, c)와 같은 형태로 나타내고, r행 c열 또는 위에서부터 r번째 칸, 왼쪽에서부터 c번째 칸을 의미한다. r과 c는 1부터 시작한다.
이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치킨을 매우 좋아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치킨 거리"라는 말을 주로 사용한다. 치킨 거리는 집과 가장 가까운 치킨집 사이의 거리이다. 즉, 치킨 거리는 집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각각의 집은 치킨 거리를 가지고 있다. 도시의 치킨 거리는 모든 집의 치킨 거리의 합이다.
임의의 두 칸 (r1, c1)과 (r2, c2) 사이의 거리는 |r1-r2| + |c1-c2|로 구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지도를 갖는 도시를 살펴보자.
0 2 0 1 0
1 0 1 0 0
0 0 0 0 0
0 0 0 1 1
0 0 0 1 2
0은 빈 칸, 1은 집, 2는 치킨집이다.
(2, 1)에 있는 집과 (1, 2)에 있는 치킨집과의 거리는 |2-1| + |1-2| = 2, (5, 5)에 있는 치킨집과의 거리는 |2-5| + |1-5| = 7이다. 따라서, (2, 1)에 있는 집의 치킨 거리는 2이다.
(5, 4)에 있는 집과 (1, 2)에 있는 치킨집과의 거리는 |5-1| + |4-2| = 6, (5, 5)에 있는 치킨집과의 거리는 |5-5| + |4-5| = 1이다. 따라서, (5, 4)에 있는 집의 치킨 거리는 1이다.
이 도시에 있는 치킨집은 모두 같은 프랜차이즈이다. 프렌차이즈 본사에서는 수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부 치킨집을 폐업시키려고 한다. 오랜 연구 끝에 이 도시에서 가장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치킨집의 개수는 최대 M개라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도시에 있는 치킨집 중에서 최대 M개를 고르고, 나머지 치킨집은 모두 폐업시켜야 한다. 어떻게 고르면, 도시의 치킨 거리가 가장 작게 될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N(2 ≤ N ≤ 50)과 M(1 ≤ M ≤ 13)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도시의 정보가 주어진다.
도시의 정보는 0, 1, 2로 이루어져 있고, 0은 빈 칸, 1은 집, 2는 치킨집을 의미한다. 집의 개수는 2N개를 넘지 않으며, 적어도 1개는 존재한다. 치킨집의 개수는 M보다 크거나 같고, 13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조건
첫째 줄에 폐업시키지 않을 치킨집을 최대 M개를 골랐을 때, 도시의 치킨 거리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 정답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n, m = map(int, input().split())
chicken, house = [], []
for r in range(n):
data = list(map(int, input().split()))
for c in range(n):
if data[c] == 1:
house.append((r, c)) # 일반 집
elif data[c] == 2:
chicken.append((r, c)) # 치킨집
# 모든 치킨 집 중에서 m개의 치킨 집을 뽑는 조합 계산
candidates = list(combinations(chicken, m))
# 치킨 거리의 합을 계산하는 함수
def get_sum(candidate):
result = 0
# 모든 집에 대하여
for hx, hy in house:
# 가장 가까운 치킨 집을 찾기
temp = 1e9
for cx, cy in candidate:
temp = min(temp, abs(hx - cx) + abs(hy - cy))
# 가장 가까운 치킨 집까지의 거리를 더하기
result += temp
# 치킨 거리의 합 반환
return result
# 치킨 거리의 합의 최소를 찾아 출력
result = 1e9
for candidate in candidates:
result = min(result, get_sum(candidate))
print(result)
'Group Study (2021-2022) > Coding 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테스트 스터디] 6주차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0) | 2022.07.09 |
---|---|
[코딩테스트 스터디] 5주차 - 이분탐색 (0) | 2022.07.03 |
[코딩테스트 스터디] 4주차 - 정렬 (0) | 2022.06.27 |
[코딩테스트 스터디] 3주차 - BFS/DFS (0) | 2022.06.27 |
[코딩테스트 스터디] 1주차 - 그리디 알고리즘 (0) | 202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