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
- 종류: 선택 정렬, 삽입 정렬, 퀵 정렬, 계수 정렬
- 이진 탐색(Binary Search)의 전처리 과정
- 리스트 뒤집기(reverse): 시간 복잡도 O(N)
선택 정렬(Selection Sort)
매번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하는 알고리즘
-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맨 앞에 있는 데이터와 교환
- 정렬이 완료된 곳은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서 1번 과정 수행 (N-1번 반복)
- 마지막 데이터는 가만히 놔두어도 정렬 완료
for i in range(len(array)):
min_index = i # 가장 작은 원소의 인덱스
for j in range(i+1, len(array)):
if array[min_index] > array[j]:
min_index = j # 최솟값 인덱스 찾아서
array[i], array[min_index] = array[min_index], array[i] # 자리 바꾸기
- 평균 시간 복잡도: O(N2)
- (N-1)번 만큼 비교 연산 → 작은 수를 찾아 맨 앞으로 보내는 작업
- 연산 횟수 = N + (N-1) + (N-2) + … + 2 ≒ N * (N+1) / 2 = (N²+N) / 2
- 반복문 2중 중첩
- N > 10,000 일 때 비효율적
삽입 정렬
데이터를 앞에서부터 하나씩 확인하며 적절한 위치에 삽입
- 필요할 때만 위치를 바꿈 ⇒ 데이터가 거의 정렬되어 있을 때 훨씬 효율적
- 적절한 위치에 들어가기 전에, 그 앞까지의 데이터는 이미 정렬되어 있음
- 삽입될 위치를 찾기 위해 왼쪽으로 한 칸씩 이동할 때, 삽입될 데이터보다 작은 데이터를 만나면 그 위치에서 멈춤
- 첫 번째 데이터는 그 자체로 정렬되어 있다고 판단, 두 번째 데이터가 들어갈 위치를 판단 (첫 번째 데이터의 왼쪽 or 오른쪽)
- 세 번째 데이터가 들어갈 위치 판단 (1번째, 2번째 데이터와 비교) → … → N번째 데이터까지 N-1번 반복
for i in range(1, len(array)): # 두 번째 데이터부터 판단
for j in range(i, 0, -1): # i부터 1까지 한 칸씩 왼쪽으로 이동
if array[j] < array[j-1]: # 한 칸씩 왼쪽으로 이동하며
array[j], array[j-1] = array[j-1], array[j] # 자리 바꾸기
else: # 삽입될 데이터보다 작은 데이터를 만나면 멈춤
break
- 평균 시간 복잡도: O(N2)
- 반복문 2중 중첩
- 최선의 경우 O(N): 데이터가 거의 정렬되어 있을 때
퀵 정렬
기준 데이터 설정 ⇒ 기준보다 큰 데이터와 작은 데이터의 위치를 바꿈 ⇒ 리스트를 반으로 분할
- 피벗(Pivot): 교환하기 위한 기준
- 호어 분할 방식: 리스트에서 첫 번째 데이터를 피벗으로 정하는 분할 방식
- 재귀 함수의 동작 원리와 동일
-
- 첫 번째 데이터를 피벗으로 지정: 왼쪽에서 피벗보다 큰 데이터를, 오른쪽에서 피벗보다 작은 데이터를 선택 ⇒ 위치 변경
- 두 값이 엇갈린 경우, 작은 데이터와 피벗의 위치를 변경
- 분할 완료: 이제 피벗의 왼쪽은 피벗보다 작은 값이, 오른쪽은 피벗보다 큰 값이 위치
- 왼쪽, 오른쪽 리스트도 동일한 방식으로 정렬
- 과정을 반복하여 리스트의 원소가 1개가 되면 정렬 완료
# 직관적인 형태
def quick_sort(array, start, end):
# 원소가 1개이면 종료
if start >= end:
return
pivot = start # 피벗 = 첫 번째 원소
left = start + 1
right = end
while left <= right:
# 피벗보다 큰 데이터를 찾기
while left <= end and array[left] <= array[pivot]:
left += 1
# 피벗보다 작은 데이터 찾기
while right > start and array[right] >= array[pivot]:
left -= 1
# 엇갈린 경우 작은 데이터와 피벗의 위치를 변경
if left > right:
array[right], array[pivot] = array[pivot], array[right]
# 엇갈리지 않은 경우 큰 값과 작은 값의 위치를 변경
else:
array[left], array[right] = array[right], array[left]
# 왼쪽, 오른쪽 리스트도 정렬
quick_sort(array, start, right-1)
quick_sort(array, right+1, end)
quick_sort(array, 0, len(array)-1)
print(array)
# 파이썬의 장점을 살린 간결한 형태
def quick_sort(array):
# 원소가 1개이면 종료
if len(array) <= 1:
return array
pivot = array[0] # 피벗 = 첫 번째 원소
tail = array[1:] # 피벗 제외한 리스트
left_side = [x for x in tail if x <= pivot] # 피벗보다 작은 부분
right_side = [x for x in tail if x > pivot] # 피벗보다 큰 부분
# 왼쪽, 오른쪽 리스트도 정렬하고 합치기
return quick_sort(left_side) + [pivot] + quick_sort(right_side)
print(quick_sort(array))
- 평균 시간 복잡도: O(NlogN)
- 데이터가 N개일 때, 분할이 일어나는 횟수 ≒ logN(밑이 2)
- 최악의 경우 O(N2): 리스트의 가장 왼쪽 데이터를 피벗으로 삼을 때, 이미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을 때
- 파이썬 기본 정렬 라이브러리 이용하면 O(NlogN) 보장
계수 정렬
특정한 값을 가지는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 모든 범위를 담을 수 있는 크기의 리스트 선언
- 데이터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고, 중복된 값이 많을 수록 유리
- 정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을 때만 사용 가능
- 큰 데이터 - 작은 데이터 ≤ 1,000,000일 때 효과적
- 데이터의 개수가 많아도 매우 빠르게 동작
- 최댓값과 최솟값의 범위를 모두 포괄하는 리스트 생성, 0으로 모두 초기화
- 데이터를 하나씩 확인하며 데이터의 값과 동일한 인덱스의 값을 1씩 증가 ⇒ 등장 횟수
- 해당 리스트를 순서대로 등장한 횟수만큼 출력
# 모든 범위를 포함하는 리스트 선언
count = [0] * (max(array) - min(array) + 1)
# 각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값 증가
for i in range(len(array)):
count[array[i]] += 1
# 해당 리스트를 순서대로 등장한 횟수만큼 출력
for i in range(len(count)):
for j in range(count[i]):
print(i, end=' ')
- 평균 시간 복잡도: O(N+K) (K=데이터 중 최댓값)
- 평균 공간 복잡도: O(N+K)
- 0과 999,999 두 개만 있어도 리스트의 크기가 100만 개 ⇒ 때에 따라 비효율적
- 동일한 값을 가지는 데이터가 여러 개 등장할 때 효율적
정리
정렬 알고리즘 | 평균 시간 복잡도 | 공간 복잡도 | 특징 |
선택 정렬 | O(N²) | O(N) | -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 ⇒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 중 가장 앞쪽 데이터와 위치 교환 - 아이디어가 매우 간단 |
삽입 정렬 | O(N²) | O(N) | - 데이터를 앞에서부터 하나씩 확인하며 적절한 위치에 삽입 - 데이터가 거의 정렬되어 있을 때는 가장 빠름 |
퀵 정렬 | O(NlogN) | O(N) | - 기준 데이터 설정 ⇒ 기준보다 큰/작은 데이터의 위치를 바꿈 - 대부분의 경우 가장 적합, 충분히 빠름 |
계수 정렬 | O(N+K) (K=데이터 중에서 가장 큰 양수) |
O(N+K) (K=데이터 중에서 가장 큰 양수) |
- 특정한 값을 가지는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 - 데이터의 크기가 한정된 경우에만 사용 가능 - 매우 빠르게 동작 |
#23 국영수
n = int(input()) # 학생 수
students = [] # 학생 정보 리스트
for _ in range(n):
students.append(input().split())
# 리스트 정렬
students.sort(key = lambda x: (-int(x[1]), int(x[2]), -int(x[3]), x[0]))
# 이름만 출력
for student in students:
print(student[0])
#24 안테나
n = int(input())
data = list(map(int, input().split()))
data.sort()
if len(data) % 2 == 0:
mid = len(data) // 2 - 1
else:
mid = len(data) // 2
print(data[mid])
#25 실패율
def solution(N, stages):
answer = {}
stages.sort()
for i in range(1, N + 1):
# 스테이지 성공 사람 수
c = stages.count(i)
if c == 0:
answer[i] = 0
# 스테이지 성공한 사람 수 / 스테이지 모든 사람 수
else:
answer[i] = c / len(stages)
# 성공한 사람만큼 앞에서부터 stack에서 없애기
for _ in range(c):
stages.pop(0)
# 딕셔너리 정렬하기
st = dict(sorted(answer.items(), key=lambda item: item[1], reverse=True))
return list(st.keys())
#26 카드 정렬하기
#include<iostream>
#include<cmath>
#include<algorithm>
#include<string>
#include<queue>
#include<vector>
using namespace std;
priority_queue<int, vector<int>, greater<int>> card;
int main(){
int n;
cin >> n;
for(int i = 0; i<n; i++){
int a;
cin >> a;
card.push(a);
}
int count_sum = 0;
for(int i =0; i< n-1; i++){
int a, b;
a = card.top();
card.pop();
b = card.top();
card.pop();
card.push(a+b);
count_sum += (a+b);
}
cout << count_sum;
}
'Group Study (2021-2022) > Coding 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테스트 스터디] 6주차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0) | 2022.07.09 |
---|---|
[코딩테스트 스터디] 5주차 - 이분탐색 (0) | 2022.07.03 |
[코딩테스트 스터디] 3주차 - BFS/DFS (0) | 2022.06.27 |
[코딩테스트 스터디] 2주차 - 구현 (0) | 2022.05.30 |
[코딩테스트 스터디] 1주차 - 그리디 알고리즘 (0) | 202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