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86

[SQLD] 제1과목 제 1장. 데이터 모델의 이해

제 1절 데이터 모델의 이해데이터 모델링이란?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관점에서의 업무를 분석하는 기법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규칙에 따른 표기법으로 표현하는 과정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과 설계의 과정데이터 모델링의 특징추상화단순화명확성데이터 모델링시 중요성과 유의점중복 : 같은 정보를 여러번 저장하지 않아야함 -> 유일성비유연성 : 업무 변화에도 데이터 모델이 자주 변경되지 않도록 데이터 정의를 사용 프로세스와 분리 필요 -> 유연성비일관성 : 데이터 중복 없어도 비일관성 발생 가능하므로 데이터간 상호 연관 관계에 대한 정의가 필요 -> 일관성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개념적 모델링 : 중요한 부분 위주로 엔터티, 속성 도출 후 ERD작성논리적 모델링 : 식별자 도출, 릴레이션/관계/속성 등 정..

[03주차-03] HTTP

HTTP / 1.0한 연결당 하나의 요청을 처리 -> RTT 증가 유발 -> 서버에 부담 증가 + 사용자 응답 시간 길어짐✔️ RTT :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고 나서 다시 출발지로 돌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 (=패킷 왕복 시간)RTT 증가 해결 방안📍이미지 스플리팅이미지를 여러장 다운로드받게 되면 과부하-> 이미지를 합쳐서 하나의 이미지로 다운로드 -> 이를 기반으로 background-image의 position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기#icons>li>a { background-image: url("icons.png"); width: 25px; display: inline-block; height: 25px; repeat: no-repeat;}#icons>li:nth-child(1)>a { back..

[3주차-02] IP 주소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IP 주소로부터 MAC 주소를 구하는, IP와 MAC 주소의 다리 역할ARP를 통해 가상 주소인 IP 주소를 실제 주소인 MAC 주소로 변환✔️ RARP : 실제 주소인 MAC 주소를 가상 주소인 IP 주소로 변환 홉바이홉 통신홉바이홉 통신 : IP 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통신장치 안의 라우팅 테이블 IP를 기반으로 패킷을 계속 전달하며 라우팅을 수행하며 최종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라우팅 테이블라우터에 들어가 있는 목적지 정보들과 그 목적지로 가기 위한 방법이 들어 있는 리스트게이트웨이와 모든 목적지에 대해 해당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거쳐야 할 다음 라우터의 정보를 가지고 있음송신지에서 수신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사용게이트웨이서로 다른 통신망 , ..

[클린코드] 4주차 스터디(5장. 형식 맞추기)

📍5장. 형식 맞추기"형식은 내용만큼 중요하다" - 로버트 C.마틴개발자가 매일 작성하는 코드에는 **의도와 구조, 협업의 방식**까지 담겨야 한다.5장은 단순히 "코드 컨벤션"을 넘어서 개발자가 가져야 할 스타일과 규율에 대해 말한다.1. 적절한 행 길이를 유지하라클린코드는 "짧은 파일이 좋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파일은 **200줄 이내**가 이상적이라고 한다.너무 긴 클래스나 함수는 분리해보는 습관이 필요하다. 2. 위에서 아래로 세세하게고수준의 개념은 위에, 세부 구현은 아래에 작성해야 한다.즉,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구체화하는 흐름이 좋다. 책에서는 이를 "신문 기사 스타일"에 비유한다.fun processPayment() { if (!validatePayment()) return ..

[클린코드] 3주차 스터디(4장. 주석)

4장. 주석주석잘 달린 주석은 그 어떤 정보보다 유용하다. 경솔하고 근거 없는 주석은 코드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오래되고 조잡한 주석은 거짓과 잘못된 정보를 퍼뜨려 해악을 미친다. 우리는 코드로 의도를 표현하지 못해, 그러니까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주석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주석이 필요한 상황에 처하면 곰곰이 생각해아한다. 주석을 달 때마다 자신에게 표현력이 없다는 사실을 푸념해야 마땅하다. 코드는 변화하고 진화한다. 일부가 여기서 저기로 옮겨지기도 한다. 불행하게도 주석이 언제나 코드를 따라가지는 않는다. 코드만이 자기가 하는 일을 진실되게 말한다. 코드만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일한 출처다. 그러므로 우리는 주석을 가능한 줄이도록 꾸준히 노력해야한다.주석은 나쁜 코드를 보완하지 못한다.코드에..

[3주차-01] 네트워크 기기

네트워크 기기는 계층별로 처리 범위가 나뉜다.애플리케이션 계층 → L7 스위치인터넷 계층 → 라우터, L3 스위치데이터 링크 계층 → L2 스위치, 브리지물리 계층 → NIC, 리피터, AP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 가능.반대로 하위 계층의 처리 기기는 상위 계층을 처리하지 못함.(ex. L7 스위치는 모드 계층의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지만, AP는 물리 계층만 처리 가능) 1.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에는 L7 스위치가 있다.L7 스위치로드밸런서라고도 부른다.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는 기기.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요청들을 URL, 서버 , 캐시 , 쿠키들을 기반으로 분산한다. 트래픽 모니터링도 가능하며, 만약 장애가 발생한 서버가 있다면 이를 ..

[2주차-04] TCP/IP 4계층 모델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 이를 TCP/IP 4계층 모델로 설명하거나 OSI 7계층 모델로 설명 계층 구조TCP/IP 계층과 비교한 OSI 계층애플리케이션 계층 : 세 개로 쪼갬링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으로 나눠서 표현인터넷 계층 : 네트워크 계층이라고 부름이 계층들은 특정 계층이 변경되었을 때 다른 계층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ex. 전송 계층에서 TCP를 UCP로 변경 => 인터넷 웹 브라우저를 다시 설치해야하는 것은 아님 각 계층을 대표하는 스택   애플리케이션 계층: FTP, HTTPS, SSH, SMTP, DNS 등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웹 서비..

[클린코드 스터디] 2주차 스터디(3장. 함수)

3장. 함수🎯 함수는 작고 명확하게함수는 작아야 한다. 그리고 더 작아야 한다.함수가 짧을수록, 들여쓰기 레벨이 얕을수록, 읽기 쉬운 구조가 된다.한눈에 코드를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한 가지 작업만 수행해야 한다.// 길고 복잡한 함수 예시public void processUser(User user) { if (user.isActive()) { sendEmail(user); } updateLastLogin(user); saveToDatabase(user);}// 작고 명확하게 분리한 예시public void processUser(User user) { if (isActiveUser(user)) { notifyUser(user); } ..

[2주차-03] Network Basics - Network Classification & Commands

네트워크 분류사무실과 개인적으로 소유 가능한 규모 : LAN (Local Area Network)서울시 등 시 정도의 규모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세계 규모의 : WAN (Wide Area Network) LAN: 근거리 통신망 (같은 건물이나 캠퍼스 같은 좁은 공간)전송 속도가 빠르며 혼잡하지 않다MAN: 대도시 지역 네트워크 (도시 같으 넓은 지역)전송 속도는 평균이며 LAN보다는 더 많이 혼잡함WAN: 광역 네트워크 (국가 또는 대륙 같은 넓은 지역)전송 속도 낮으며 MAN보다 더 혼잡  네트워크 성능 분석 명령어네트워크 병목 현상의 주된 원인네트워크 대역폭네트워크 토폴로지서버 CPU, 메모리 사용량비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성이때는 네트워크 관련 테스트와 네트워크와 ..

[2주차-02] Network Basics - Network Topology

네트워크 :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노드 :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장치링크 : 유선 또는 무선 처리량과 지연 시간좋은 네트워크 = 많은 처리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연 시간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고 좋으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처리량: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을 말함 = 보통 얼만큼의 트래픽을 처리했는지단위로는 bps(bits per second)를 씀 : 초당 전송 또는 수신되는 비트 수라는 의미트래픽: 특정 시점에 링크 내에 '흐르는' 데이터의 양ex.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클라이언트가 다운로드할 때 발생되는 데이터의 누적량트래픽이 많아졌다 = 흐르는 데이터가 많아졌다처리량이 많아졌다 = 처리되는 트래픽이 많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