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SC Sookmyung 활동 77

프로젝트때 사용해볼 만한 툴

프로젝트 시 사용해볼 만한 툴들을 가볍게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1. 깃 크라켄 (git kraken) 깃 크라켄은 git GUI중 하나입니다. git GUI란 git의 작업 히스토리들을 시각화해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협업에서 활용하기 용이하고 특히나 git 사용에 능숙하지 않으신 분께 추천합니다. 기존에 저는 github desktop을 이용했었는데 이번에 깃 크라켄으로 넘어가니까 훨씬 더 편하더라고요! 팀원들의 커밋 히스토리가 시각화되어 있어 보기가 편하고, 좌측에는 다양한 메뉴들이 있어 git issue, PR, branches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굳이 번거롭게 깃허브에 들어갈 필요가 없죠! 또한 가장 좋다고 생각한 부분은 충돌이 났을 때 해결하기 편리하다는 점입니다. 왼쪽은 브런치에서의 코..

NeRF에 대해 알아보자!

ECCV에서 2020 Best Paper Honorable Mention으로 선정된 NeRF에 대해 알아보자! NeRF는 Representing Scense as Neural Radiance Fields for View Synthesis로, View Synthesis 모델이다. 즉, 여러 시점에서의 물체 이미지를 입력으로 받아 새로운 시점에서의 물체의 모습을 만들어내는 모델이다! 위의 이미지 상, 각각의 카메라가 가지는 5차원 데이터, 좌표 상의 위치인 x,y,z와 시야 방향인 세타와 파이를 input으로 받아 색상과 밀도를 예측해 물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NeRF는 MLP로 학습하는데, 총 9개의 FC와 활성화 함수 ReLU를 사용한다. 이때, 한 물체에 대해 어느 방향에서 보는지에 따라 보이는..

AWS SAA 자격증 따는 방법

제목은 '솔루션 아키텍트 자격증을 따는 방법' 이지만제가 AWS SAA 자격증을 어떻게 준비했는지 간단하게 소개시켜 드리려고 합니다.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AWS 솔루션 아키텍트 자격증에 대해 처음 들어보시는 분들도 많은 텐데요. AWS 홈페이지에 따르면 AWS 서비스 전반의 AWS 기술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입증할 수 있고, 비용 및 성능에 최적화된 솔루션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에 대한 이해력을 시험하는 자격증입니다. 이 자격증을 준비하고 취득하면 다음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및 데이터베이스 AWS 서비스는 물론, AWS 배포 및 관리 서비스에 대한 지식..

[GPT] 무엇이든 가능한 챗GPT

챗GPT란? 고도화된 챗봇 기존 챗봇 서비스와의 차이점 인공지능이 기존 웹상에 존재하는 수억 개의 데이터를 분석해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자연어 형태로 답변 기존 대화 기억, 응답 ⇒ 맥락에 기반한 정교화된 답변 가능 사람의 피드백을 반영하는 강화학습을 적용 기존 챗봇: 답이 정해져 있는 데이터를 입력해 AI를 학습시키는 지도학습이었다. 챗GPT: 이용자들의 실시간 대화 데이터로 시행착오를 거치며 스스로 훈련하는 모델 기능 특정한 텍스트가 주어졌을 때, 이어서 붙을 텍스트가 무엇인지 예측하는 모델 how are you를 입력 받으면 다음 단어인 doing을 예측 최근 챗GPT가 더욱 각광받게 된 이유는? 출시된 지 5일 만에 약 100만 명의 사용자 확보하는 놀라운 속도를 보였다. 100만 명 ⇒ 넷플릭..

☁️ Cloud CLI

Cloud CLI란? Cloud CLI란 Cloud 리소스를 만들고 관리하기 위한 도구 모음입니다. CLI를 사용하면 명령어 라인에서 또는 스크립트 및 기타 자동화를 통해 많은 일반적인 플랫폼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CLoud CLI 종류 AWS aws GCP gcloud Oracle oci NCP ncloud … … gcloud CLI 사용법 1. gcloud download https://cloud.google.com/sdk/gcloud gcloud CLI 개요 | Google Cloud CLI 문서 의견 보내기 gcloud CLI 개요 이 페이지에는 Google Cloud CLI와 일반적인 명령어 패턴 및 특징의 개요가 나와 있습니다. gcloud CLI란 무엇인가요? Google Cloud..

MLops와 Vertex AI 맛보기

주제 선택 동기 솔루션 챌린지에 참여하면서 기존 서비스를 머신러닝 기반으로 전환하게 되었는데, 머신러닝 모델을 배포하기 위해 수없이 많은 시행착오를 하던 와중 알게 된 분야 참고로 필자는 머신러닝에 대해서 그렇게 잘 알지는 않음. 서버 개발 지향. PART1. MLops 소개 MLops란? 🤔 : Devops는 들어봤는데… 개발과 운영을 따로 나누지 않고 개발의 생산성과 운영의 안정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론이 DevOps이며, 이를 ML 시스템에 적용한 것이 MLOps입니다. 🤔 : MLOps는 뭐야? MLOps는 머신 러닝 모델을 프로덕션으로 전환하는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뒤이어 이를 유지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주안점을 둔 머신러닝 엔지니어링의 핵심 운영론입니다. 🤔 : 알면 좋을 사람들 주로 데..

클라우드 네이티브란?

☁ Cloud Native란? ☁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정의 클라우드의 이점을 백퍼센트 활용하지 못하는 기존 시스템에서의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클라우드의 이점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방식 클라우드 네이티브라는 이름만 보게 되더라도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클라우드의 규모와 크기 조정 및 성능에 최적화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접근 방식과 기술을 이야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2015년 처음 클라우드 네이티브라는 용어를 사용한 리눅스는 CNCF 재단을 만들어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할 수 있는 오픈 소스 기술들을 추진하고 관리하고 있음 또한 CNCF 재단에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은 조직이 퍼블릭, 프라이빗, 그리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같은 현대적이고 동적인 환..

디지털 소유권 - NFT와 메타버스

1. 메타버스 메타버스는 1992년 닐 스티븐슨의 소설 스노 크래쉬에서 처음 등장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 +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라는 말이 합쳐진 신조어 현실세계와 같이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3차원의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 온라인, 오프라인이 완벽하게 연결된, 24시간 365일 지속되는 가상 현실로, 오프라인의 물체가 움직임에 따라 온라인에서도 물체가 이동하고, 온라인의 물체를 실제로 확인할 수는 없어도 AR을 통해 온라인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세상. 아직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인 발전이 많이 필요한 분야 2. 블록체인 NFT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해해야 한다. 블록체인이라는 말을 분해해서 해석을 해 보자면 Block + Chain , 블록이 체인으로 연결..

CORS란?

웹개발을 하다 자주 마주치는 CORS 에러 CORS 출처(Origin): Protocol + Host + Port (https:// + www.domain.com + :3000) 웹의 정책 Cross-Origin-Policy(교차 출처 정책): 다른 도메인으로부터 리소스가 요청될 경우 cross-origin HTTP 요청 ****사용. HTML이 사용: , 등 Same-Origin-Policy(동일 출처 정책): 대부분의 브라우저가 cross-origin HTTP 요청을 보안 상 이유로 제한함. 요청을 보내기 위해서는 요청 보낼 대상과 Protocol + Host + Port가 같아야 함. Javascript: XMLHttpRequest, Fetch API 등 해결법 CORS(Cross Origin Re..

[Algorithm] SMUPC를 위한 알고리즘 노트

이 노트는 SMUPC에 참가하시는 분들을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Python, C, C++, Java 코드가 작성되어 있으니 대회 문제를 푸실 때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오타나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점... 감안하시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MUPC 참가하시는 분들 모두 화이팅! 목차 1. 시간복잡도 2. 정렬 3. Stack, Queue 4. 이진검색, 이분탐색 5. DFS, BFS 시간 복잡도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주로 Big-O 표기법을 사용한다. Big-O 표기법은 계수와 낮은 차수의 항을 제외한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기 전에 생각한 풀이가 제한된 시간 복잡도를 넘지는 않는지, 문제를 풀고 난 후에는 제한된 시간 복잡도에 맞게 풀었는지 확인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