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주차 목표: 텍스트 분석 프로세스 이해하기
- 참고 자료: wikidocs.net/21694
1. 텍스트 분석 기본 용어
1. 토큰화 (Tokenization)
자연어 처리에서 크롤링 등으로 얻어낸 코퍼스 데이터가 필요에 맞게 전처리되지 않은 상태라면,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고자하는 용도에 맞게 토큰화(tokenization) & 정제(cleaning) & 정규화(normalization)하는 일을 하게 된다.
주어진 코퍼스(corpus)에서 토큰(token)이라 불리는 단위로 나누는 작업을 토큰화(tokenization)라고 부른다.
토큰화의 단위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의미있는 단위로 토큰을 정의한다. (e.g. 단어, 문장)
Corpus: 말뭉치 또는 코퍼스는 자연언어 연구를 위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언어의 표본을 추출한 집합
1) 단어 토큰화 (Word Tokenization)
토큰의 기준을 단어(word)로 하는 경우, 단어 토큰화(word tokenization)라고 한다. 다만, 단어(word)는 단어 단위 외에도 단어구, 의미를 갖는 문자열로도 간주되기도 한다.
토큰화에서 고려해야할 사항
구두점이나 특수 문자를 단순 제외해서는 안 된다.
온점(.)은 문장의 경계를 알 수 있는데 도움이 되므로 단어를 뽑아낼 때, 온점(.)을 제외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보통 수치를 표현할 때는 123,456,789와 같이 세 자리 단위로 컴마가 들어간다.
줄임말과 단어 내에 띄어쓰기가 있는 경우
영어권 언어의 아포스트로피(')는 압촉된 단어를 다시 펼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e.g. we're = we are) New York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단어지만 중간에 띄어쓰기가 존재한다. 사용 용도에 따라서, 하나의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가 있는 경우에도 하나의 토큰으로 봐야한 경우도 있다.
단어 토큰화 도구: NLTK의 word_tokenize, WordPunctTokenizer. 캐라스의 text_to_word_sequence
2) 문장 토큰화 (Sentence Tokenziation)
이 작업은 갖고있는 코퍼스 내에서 문장 단위로 구분하는 작업으로 때로는 문장 분류(sentence segmentation)라고도 부른다.
!나 ?는 문장의 구분을 위한 꽤 명확한 구분자(boundary) 역할을 하지만 온점은 꼭 그렇지는 않다. 온점은 문장의 끝이 아니더라도 등장할 수 있다. (e.g. IP 192.168.56.31 또는 Ph.d)
따라서 사용하는 코퍼스가 어떤 국적의 언어인지, 또는 해당 코퍼스 내에서 특수문자들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에 따라 직접 규칙을 정의해볼 수 있다.
이진 분류기 (Binary Classifier)
문장 토큰화에서의 예외 사항을 발생시키는 온점의 처리를 위해서 입력에 따라 두 개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이진 분류기 (binary classifier)를 사용하기도 한다.
두 개의 클래스:
1. 온점(.)이 단어의 일부분일 경우. 즉, 온점이 약어(abbreivation)로 쓰이는 경우
2. 온점(.)이 정말로 문장의 구분자(boundary)일 경우
문장 토큰화 도구 오픈소스: NLTK, OpenNLP, 스탠포드 CoreNLP, splitta, LingPipe
한국어에서 토큰화의 어려움
영어는 줄임말에 대한 예외처리만 한다면, 띄어쓰기(whitespace)를 기준으로 하는 띄어쓰기 토큰화를 수행해도 단어 토큰화가 잘 작동한다. 하지만 한국어는 영어와는 달리 띄어쓰기만으로는 토큰화를 하기에 부족하다.
1. 한국어는 교착어이다.
영어와는 달리 한국어에는 조사라는 것이 존재한다. (e.g. 그(he/him) == 그가, 그에게, 그를, 그와, 그는...) 다양한 조사가 '그'라는 글자 뒤에 띄어쓰기 없이 바로 붙게 된다.
한국어 토큰화에서는 형태소(morpheme)란 개념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 자립 형태소: 접사, 어미, 조사와 상관없이 자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소. 그 자체로 단어가 된다.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수식언(관형사, 부사), 감탄사 등이 있다.
- 의존 형태소: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형태소, 접사, 어미, 조사, 어간
2. 한국어는 띄어쓰기가 영어보다 잘 지켜지지 않는다.
2. 불용어 (Stopword)
갖고 있는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단어 토큰만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큰 의미가 없는 단어 토큰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여기서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은 자주 등장하지만 분석을 하는 것에 있어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 단어들을 말한다. (e.g. I, my, me, over, 조사, 접미사)
이러한 단어들을 불용어(stopword)라고 하며, NLTK에서는 위와 같은 100여 개 이상의 영어 단어들을 불용어로 패키지 내에서 미리 정의하고 있다.
3. 정규표현식 (Regular Expression)
텍스트 데이터를 전처리하다보면, 정규 표현식은 아주 유용한 도구로 사용된다.
1) 정규표현식 문법
정규 표현식을 위해 사용되는 문법 중 특수 문자
특수 문자 | 설명 |
. | 한 개의 임의의 문자를 나타낸다. (줄바꿈 문자인 \n는 제외) |
? | 앞의 문자가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문자가 0개 또는 1개) |
* | 앞의 문자가 무한개로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문자가 0개 이상) |
+ | 앞의 문자가 최소 한 개 이상 존재한다. (문자가 1개 이상) |
^ | 뒤의 문자로 문자열이 시작된다. |
$ | 앞의 문자로 문자열이 끝난다. |
{숫자} | 숫자만큼 반복한다. |
{숫자1, 숫자2} | 숫자1 이상 숫자2 이하만큼 반복한다. ?, *, +를 이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
{숫자,} | 숫자 이상만큼 반복한다. |
[ ] | 대괄호 안의 문자들 중 한 개의 문자와 매치한다. [amk]라고 한다면 a 또는 m 또는 k 중 하나라도 존재하면 매치를 의미한다. [a-z]와 같이 범위를 지정할 수도 있다. [a-zA-Z]는 알파벳 전체를 의미하는 범위이며, 문자열에 알파벳이 존재하면 매치를 의미한다. |
[^문자] | 해당 문자를 제외한 문자를 매치한다. |
l | AlB와 같이 쓰이며 A 또는 B의 의미를 가진다. |
정규 표현식 문법 중 역 슬래쉬(\)를 이용하여 자주 쓰이는 문자 규칙들
문자 규칙 | 설명 |
\\ | 역 슬래쉬 문자 자체를 의미한다. |
\d | 모든 숫자를 의미한다. [0-9]와 의미가 동일하다. |
\D | 숫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를 의미한다. [^0-9]와 의미가 동일하다. |
\s | 공백을 의미한다. [ \t\n\r\f\v]와 의미가 동일하다. |
\S | 공백을 제외한 문자를 의미한다. [^ \t\n\r\f\v]와 의미가 동일하다. |
\w | 문자 또는 숫자를 의미한다. [a-zA-Z0-9]와 의미가 동일하다. |
\W | 문자 또는 숫자가 아닌 문자를 의미한다. [^a-zA-Z0-9]와 의미가 동일하다. |
2) 파이썬에서 지원하고 있는 정규 표현식 모듈 함수 re 사용
re.findall()
: 문자열에서 정규 표현식과 매치되는 모든 경우의 문자열을 찾아서 리스트로 리턴한다.
만약, 매치되는 문자열이 없다면 빈 리스트가 리턴된다.
In [1]:
1
2
3
4
5
6
|
import re
text = """이름 : 눈송이
전화번호 : 010-1234-5678
나이 : 25
성별 : 여"""
re.findall('\d+', text)
|
cs |
Out[1]: ['010', '1234', '5678', '25']
In [2]:
1
2
3
4
5
6
|
import re
text = """이름 : 눈송이
전화번호 : 010-1234-5678
나이 : 25
성별 : 여"""
re.findall('\d{4}', text)
|
cs |
Out[2]: ['1234', '5678']
In [3]:
1
2
3
4
5
|
import re
text = """100 John PROF
101 James STUD
102 Noonsong STUD"""
re.findall('[A-Z][a-z]+', text)
|
cs |
Out[3]: ['John', 'James', 'Noonsong']
4. 정수 인코딩 (Integer Encoding)
컴퓨터는 텍스트보다는 숫자를 더 잘 처리 할 수 있으므로 자연어 처리에서는 텍스트를 숫자로 바꾸는 여러가지 기법들이 있다. 그리고 그러한 기법들을 본격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첫 단계로 각 단어를 고유한 정수에 맵핑(mapping)시키는 전처리 작업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정수 인코딩이다.
1) 문장 분리 및 토큰화
In [4]:
1
2
3
4
5
|
text = "A barber is a person. a barber is good person. a barber is huge person. he Knew A Secret! The Secret He Kept is huge secret. Huge secret. His barber kept his word. a barber kept his word. His barber kept his secret. But keeping and keeping such a huge secret to himself was driving the barber crazy. the barber went up a huge mountain."
# 문장 분리
sentences = text.replace("!", ".").split(". ")
# 토큰화
tokenized = [sentence.lower().split() for sentence in sentences]
|
cs |
2) 각 단어에 대한 빈도수 딕셔너리 저장
In [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 각 단어에 대한 빈도수 딕셔너리로 저장
# *stopword는 제거
from nltk.corpus import stopwords
vocab = {}
stop_words = set(stopwords.words('english'))
sentences = [] # stopword 제거된 토큰화된 문장 리스트 저장
for sentence in tokenized:
result = []
for word in sentence:
if word not in stop_words:
result.append(word)
if word not in vocab:
vocab[word] = 0
vocab[word] += 1
sentences.append(result)
# 빈도수 높은 순으로 정렬
vocab_sorted = sorted(vocab.items(), key=lambda x:x[1], reverse=True)
print(vocab_sorted)
|
cs |
[('barber', 8), ('secret', 6), ('huge', 5), ('kept', 4), ('person', 3), ('word', 2), ('keeping', 2), ('good', 1), ('knew', 1), ('driving', 1), ('crazy', 1), ('went', 1), ('mountain.', 1)]
3) 빈도순으로 정렬된 단어에 정수 인덱스 부여
In [6]:
1
2
3
4
5
6
7
8
|
word_to_index = {}
i = 1
for (word, frequency) in vocab_sorted:
word_to_index[word] = i
i=i+1
# dictionary에 없는 단어
word_to_index['OOV'] = len(word_to_index) + 1
print(word_to_index)
|
cs |
{'barber': 1, 'secret': 2, 'huge': 3, 'kept': 4, 'person': 5, 'word': 6, 'keeping': 7, 'good': 8, 'knew': 9, 'driving': 10, 'crazy': 11, 'went': 12, 'mountain.': 13, 'OOV': 14}
4) word_to_index를 사용하여 sentences의 모든 단어들을 맵핑되는 정수로 인코딩
In [7]:
1
2
3
4
5
6
7
8
9
10
|
encoded = []
for s in sentences:
temp = []
for w in s:
try:
temp.append(word_to_index[w])
except KeyError:
temp.append(word_to_index['OOV'])
encoded.append(temp)
print(encoded)
|
cs |
[[1, 5], [1, 8, 5], [1, 3, 5], [9, 2], [2, 4, 3, 2], [3, 2], [1, 4, 6], [1, 4, 6], [1, 4, 2], [7, 7, 3, 2, 10, 1, 11], [1, 12, 3, 13]]
5. 패딩 (Padding)
기계는 길이가 전부 동일한 문서들에 대해서는 하나의 행렬로 보고, 한꺼번에 묶어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병렬 연산을 위해서 여러 문장의 길이를 임의로 동일하게 맞춰주는 작업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패딩이다.
1) 가장 긴 문장 길이 찾기
2) 가장 긴 문장 길이에 맞춰 0으로 채워 넣기 (0으로 패딩)
In [8]:
1
2
3
4
5
6
7
|
import numpy as np
for sentence in encoded:
while len(sentence) < max_len:
sentence.append(0)
encoded = np.array(encoded)
print(encoded)
|
cs |
[[ 1 5 0 0 0 0 0]
[ 1 8 5 0 0 0 0]
[ 1 3 5 0 0 0 0]
[ 9 2 0 0 0 0 0]
[ 2 4 3 2 0 0 0]
[ 3 2 0 0 0 0 0]
[ 1 4 6 0 0 0 0]
[ 1 4 6 0 0 0 0]
[ 1 4 2 0 0 0 0]
[ 7 7 3 2 10 1 11]
[ 1 12 3 13 0 0 0]]
6.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
문자를 숫자로 바꾸는 여러 가지 기법 중에서 단어를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표현 방법이며, 머신 러닝, 딥 러닝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배워야 하는 표현 방법이다. 정수 인코딩 후에, 표현하고 싶은 단어의 인덱스의 위치에 1을 부여하고, 다른 단어의 인덱스의 위치에는 0을 부여한다.
In [9]:
1
2
3
4
5
|
def one_hot_encoding(word, word_to_index):
one_hot_vector = [0]*(len(word_to_index))
index = word_to_index[word]
one_hot_vector[index] = 1
return one_hot_vector
|
cs |
In [10]:
1
|
one_hot_encoding("huge", word_to_index)
|
cs |
[0, 0, 0, 1, 0, 0, 0, 0, 0, 0, 0, 0, 0, 0]
7. Bag of Words(BoW)
단어들의 순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단어들의 출현 빈도(frequency)에만 집중하는 텍스트 데이터의 수치화 표현 방법이다.
BoW를 만드는 과정
1. 우선, 각 단어에 고유한 정수 인덱스를 부여한다.
2. 각 인덱스의 위치에 단어 토큰의 등장 횟수를 기록한 벡터를 만든다.
텍스트 분석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해 기본 용어에 대해 알아보고, 실습도 진행해보았다.
4주차에는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알아보자.
'Group Study (2020-2021) > Machine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hine Learning] 6주차 스터디 - 이미지 처리 기본 (0) | 2020.11.20 |
---|---|
[Machine Learning] 5주차 스터디 - 추천 시스템 (0) | 2020.11.10 |
[Machine Learning] 4주차 스터디 -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 (0) | 2020.11.08 |
[Machine Learning] 2주차 스터디 - 머신러닝 기본기 다지기 (0) | 2020.10.21 |
[Machine Learning] 1주차 스터디 - 머신러닝을 위한 파이썬 (0) | 2020.10.13 |